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2022. 07. 02) 📊 각종 경제지표 및 통계지표로 보는 전망 (장기📉/단기📉)

by 미국주총꾼 2022. 7. 2.
반응형

 

1. S&P 500 Annual operating earnings (2000 - Now) :

> Bekin report는 2009년과 같이, S&P 500 수익률이 약 -48% 하락할 것으로 예상 함.

> 월스트리트 보고서들을 보면, 이제 과감하게 경기침체를 확정 짓는 리포트들이 쏟아지는 중. (= 월가 PB 들은 하향에 명예를 걸고 리포트를 내는 중)

 

 

 

2. Crude oil and copper risk preminum (%) :

> 산업재 (구리) 가격과 원유가격을 항상 커플링 되었었음.

> 최근 비정상 적으로 원유가격이 상승하였고, 괴리가 17% 발생 함.

> 원유가격이 하락 조정될 것으로 전망 되어 짐. (= 연유 하락 조정 전망)

 

 

3. Goverment bonds on course for worst year since 1865 :

> 1865년 이후, 국채가 GDP 가중 수익률 대비한 지수로 평가하였을 때, 최악의 해를 기록 중.

> 1차 세계전쟁, 2차 세계전쟁, 미국 금본위제 폐지, 마샬플랜 (미국 유럽 대외원조) 때의 수준으로 가치 하락 중.

 

 

4. PCE deflator MoM (Housing) :

> 미국 부동산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를 보면,  주택 임대료 및 임차료는 천장을 뚫고 상승중에 있음.

> 미국 인플레이션 지수에서 한 축을 담당하는 부동산 분야에서 좋지 않는 원인계로 작동할 가능성 존재.

 

 

5. European consumer price index (CPI) YoY :

> 유럽 인플레이션 지수 CPI 가 8.6%로 예상치 8.4% 대비하여, 0.2% 오버벨류 하였음.

> 유럽 인플레이션 지수는, 미국의 07월 인플레이션 지수의 미래의 거울로 알려져 있음.

> 미국 인플레이션 CPI 지수는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미국 인플레이션 CPI 발표시 급락 조심!)

 

 

6. Target rate probability for interested rate (Fed meeting) :

> 2022년 07월 27일 Fed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컨센서스를 보면, 기존 75bp 인상론이 절대 우세였지만,

최근 50bp 인상론이 강화되고 있음.

> 경제가 너무 좋지 않은 쪽으로 흐름에 따라, 인상폭에 대해서 줄이자는 컨센서스가 발동하는 중.

 

 

7. Fed funds futures curve (interested rate) :

> 미국 FED 기준금리 인상 및 인하 컨센서스를 차트화 표시하면, 2023년 03월 이후 금리 인하할 예정.

 

 

8. Economic sentiment with recession :

> 미국내 경제 심리 종합지수는 경기침체가 시작되기 직전 까지 도착함. (침체기준 : 33%)

> ISM 제조지표들이 지속하락 하고 있는 가운데, 상당히 위험한 수준까지 도달 함. (= 경기침체 대응 준비)

 

 

9. FRED - House price index and arv. hourly earnings charts :

> 연준에서 제공하는 집값 지수 및 시간당 임금을 비교하여 차트화 하면, 2008년과 같이 급격하게 간격이 벌어지고 있음.

> 다시 한번 2008년 리먼과 같이, 시스템 문제로 붕괴하지는 않겠지만, 부동산 거품이 붕괴될 경우 급격한 충격이 발생할 예정임. (= 경기침체시 동시 하락 또는 Double deep 가능)

 

 

10. Continuing jobless claims chart :

> 경기둔화 지속으로 인하여,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1456k 이상 올라가는 경우, 경기침체 로 바로 이어질 수 있음.

> 2022년 현재 4주 기준으로 약 900k이하로 아직 여유가 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

 

 

11. Fed funds vs S&P 500 Earnings growth rate :

>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S&P 500 수익률 차트

>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S&P 500 기업들의 수익률이 하락하는 모습이 보여짐.

> 조만간 있을 기업 실적발표에서 예상 컨센서스보다 낮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음. (= 실적발표 유의!)

 

 

12. DB FCI index and Recession probability charts (Deusche bank) :

> 금융상황지수 (장단기금리 + 신용스프레드 + 주가 + 환율 등) 가 급하락 중에 있음. (= 경기침체 조심!)

> 해당 지수 기준으로 경기침체 추정시, 2023년 중반이 될 경우, 가장 높은 발생 위험이 될 것으로 추정 됨.

 

 

13. China property price and leading indicator :

> 중국이 경제완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에도, 부동산 침체는 지속 중. (= 중국투자 하방 위험)

> 최근 중국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생기는 것 같에서 준비하였음. 중국은 물리면 장투 불가능.

 

 

*** 결론 ***

 

최근 월가에서도 경기침체를 확신시 하는 분위기 임.

 

명예가 중요한 월가 PB 자산전문가들도, 경기침체 리포트에 힘을 실고 있는 중.

 

확률적으로 혹시나, 조정으로 끝나지 않을까, 라는 일말의 기대가 없어지는 상태임.

 

우선, 변화가 생기기 전까지는 몸을 사리는 것이 좋을 것 같음. (미국 중간선거 모니터링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