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2022. 06. 28) 📊 각종 경제지표 및 통계지표로 보는 전망 (장기📉/단기📉)

by 미국주총꾼 2022. 6. 28.
반응형

 

1. Global EPS suprise and global PMI diffusion indicator :

> 글로벌 주당순이익(EPS) 예측 오차율 및 글로벌 제조업 관리지수(PMI) 확산지표

 

> 갈색선 : 글로벌 제조업 관리지수 (PMI) / 세계 제조업 경기 및 기업 주식 가격의 선행지표

> 녹색선 : 글로벌 주당순이익(EPS) 예측 오차율은 주가를 결정하는 선행지표

 

> 갈색선, 글로벌 제조업 관리지수 (PMI) 는 2022년 급격하게 지속하락을 하고 있음.

> 녹색선, 글로벌 주당순이익(EPS) 예측 오차율은 갈색 글로벌 제조업 관리지수의 방향대로 동반 하락할 것으로 예상 됨.

 

> 기업의 주식가격이 주당순이익에 맞추어서, 추가적인 조정이 예상 되어짐. (= 경기둔화 / 침체 경고)

 

 

 

2. S&P 500 Bottom-up EPS (1 Year) :

> SnP 500 주당순이익(EPS) 대비 주식가격 비교 그래프

 

> 어두운 파랑색 : 주당순이익 (EPS)

> 밝은 파랑색 : SnP 500 지수

 

> 어두운 파랑색, 주당순이익 (EPS) 이 방어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밝은 파랑색, SnP 주가는 하락하고 있었음.

 

> 앞서 1번 차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글로벌 주당 순이익 (EPS)가 글로벌 제조업 PMI 지수에 따라 하락할 예정임.

> 주당순이익이 이제 방어가 되지 않는 다면, 주식을 더욱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어 짐. (= 경기둔화 / = 경기침체 경고)

 

 

 

3. S&P 500 Monthly chart with RSI :

> SnP 500 보조지표 RSI 기준 월간 그래프

 

> 역사적 기준(약 150년) 으로 월간 RSI 를 보면, 경기침체 1929년 미국대공황 / 1974년 오일쇼크 / 2000년 닷컴폭락 / 2008년 리먼사태를 대비하여, 현재 2022년은 조정 수준 정도의의 하락폭 임.

> 경제지표에 따라, 정말 경기침체에 본격 진입하게 되는 경우, 고점 기준 최대 약 50% - 84% 까지 주식이 하락할 수 있음.

 

 

4. Corporate margins vs. consumer sentiment :

> 기업 마진대비 소비자 심리 그래프

 

> 빨강색 : 미시간 대학의 소비자 심리 지수

> 하얀색 : 러셀 1000 기준 후행 매출 총 이익

 

> 원자재 가격 인상금액 만큼, 소비자에게 전가하여 매출을 올리고 있었던 기업의 실적

> 소비자 심리지수가 급격하게 하락함에 따라, 기업 매출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

 

> 기업의 매출이 하락함에 따라, 실적 및 주당순이익 하락 등, 장기적 주가 전망이 좋지 않음. (= 경기둔화 / 침체 경고)

 

 

5. Worldwide google searches for recession :

> 전세계 경기침체 구글 검색량 그래프

 

> 과거 2008년 리먼사태 경기침체 / 2020년 코로나 경기침체 때에 '경기침체' 검색량이 급등하였음.

> 2022년 '경기침체' 검색량이 급등하고 있는 중.

 

>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닷컴, 리먼, 코로나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살아 왔음. 지수나 통계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아닌,

동물적 감각으로 경기침체의 위험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사료 됨. (= 심리적 경기침체 지배 / 경고)

 

 

 

 

6. Probability U.S in a recession in next 12 months :

> 미국 12개월 이내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 그래프

 

> 과거 2008년 리먼사태, 2020년 코로나 때의 경기침체에서 해당 지수는 상당히 유의하게 일치하였음.

> 확률적으로 약 50% 이상이 되는 경우, 경기침체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여 짐. (= 경기침체 경고)

 

 

 

 

7. Total fund flow (2004) and S&P 500 chart :

> 전체 현금흐름과 SnP 500 그래프

 

> 파랑색 : 전체 시장 현금 흐름

> 녹색 : SnP 500 지수

 

> 과거 경기둔화 또는 경기침체 발생 전, 파랑색 (전체의 현금흐름) 이 선행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 글로벌 헤지펀드 또는 대형 운용사들이 경기둔화 / 침체를 예상하고, 레버리지 금액 및 전체 운용금액을 축소하였음.

 

> 이러한 경우는, 2008년 2009년 사이에 한번 유사하게 한번 발생하였음.

> 결국, 글로벌 헤지펀드와 대형 운용사들이 예상하지 못한, 급격한 경기침체가 발생 했을때에 나타나는 현상임.

 

> 이러한 경우, 헤지펀드와 운용사들은 손절을 하는 것이 아닌, 장기보유를 통하여 다시 수익을 확보 하였음.

 

 

 

8. Cumulative returns around bear market bottoms (1870 - 2022Y)

> 1870년부터 2022년 까지의 약세장 (경기둔화, 침체) 발생시 기간별 누적수익률 

 

> 세로축 : S&P 500 기준 수익률

> 가로축 : 경기침체 발생 전후 월단위

> 빨강색 : 2020년 코로나 펜데믹 발생 전/후 월단위 수익률

> 기타 색상 : 전체 약세장, 조정장, 경기둔화, 침쳬 시기의 월단위 수익률

 

> 빨강색 (코로나 펜데믹) 이후 엄청난 유동성 공급으로 인하여, 과도한 성장이 발생 함. (= 인생역전 기회 발생)

> 빨강색 (코로나 펜데믹) 수익률 선은, 기존 약세장들의 수익률 평균으로 회귀하고 있는 중으로 보여짐.

 

> 현재시점 기준으로, 추가로 고점대비 약 20% 추가 조정 하락이 예상되어 짐. (= 추가하락 경고)

 

 

 

9. Small business sentiment chart :

> 미국 중소기업 임금 상승 그래프

 

> 미국 중소기업 임금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한번도 예외 없이 빨강색 경기침체가 발생하였음.

> 현재 2022년 또한 에외의 대상이 아님을 알 수 있음. (= 경기침체 경고)

 

 

 

10. Small trader call premium and put premium (% of US market cap) :

> 미국시장 소규모 트레이더들의 상방/하방 투자율

> 검은색 선 : SnP 500 지수

> 파랑색 선 : 소규모 트레이더들의 롱/숏 투자지수 (높을 수록상승에 투자 / 낮을수록 하락에 투자)

 

> 파랑색 선 (소규모 트레이덜의 롱/숏 투자지수) 가, 검은색 선 (SnP 500) 보다 아주 미세하게 선행하고 있음.

> 주식에 추가투자를 하기 원하는 투자자들은, 0.00% 이상 (무릎) 구간이 확인 된 후 진입을 추천 함. (= 투자대기)

 

 

 

11. Weekly equity fund flows chart :

> 미국 주간 펀드 및 ETF 운용자금 흐름 그래프 :

 

> 지난 주 급격하게, 펀드 및 ETF 운용자금이 유출되는 현상이 발견 됨.

> 현금흐름이 유출되는 경우, 추후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음. (= 단기투자자 경고)

 

 

 

 

 

*** 결론 ***

 

열심히 방어하고 있던, 글로벌 주가순이익이 본격적으로 하락할 것이 예상 됨.

 

그러면, 이어서 주가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 

 

다양한 경제지표들이 어김 없이, 하방을 가르키고 있음.

 

단기적 기술반등에 대한 수익익절이 발생 함. 단기 조정 유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