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22) 📊 각종 경제지표 및 통계지표로 보는 전망 (장기📉/단기📈)

by 미국주총꾼 2022. 7. 23.
반응형

 

1. Philadelphia fed manufacturing - new order and expected new order chart :

>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 신규주문 및 예상 신규주문 지수 차트.

> 신규주문 지수 자체만으로도, 이미 경제침체에 준하는 수준 -20 point 를 넘어서 하락 중. (제조업 불황)

> 그 이후의 미래를 더 볼 수 있는, 예상 신규주문 지수를 보면, 2008년 리먼 경기침체보다 더 욱더 안좋을 것으로 전망되어 지고 있음. (= 장기 경기침체 조심!)

 

 

2. Fred US initial unemployment claims chart :

> 연준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 차트.

> 2022년 04월 이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다시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 함.

> 실업자 증가의 의미는 경기불황 및 본격적 유동성 압박이 우리 삶의 주변에서 체감되는 시점.

> 실업자 증가 발생시에는, 어김없이 경기침체가 발생하였음. (= 중장기 경기불황, 경기침체 조심!)

> 약세장에서의 기술적 상승에 너무 심취해서 같이 침몰되지 않게 조심.

 

 

3. Investor sentiment vs economic sentiment :

> 투자자 및 경제 심리전망 지수 차트.

> 투자자가 느끼는 심리전망 지수는 이미 2008년 리먼 경기침체와 준하는 수준까지 하락 함.

> 경제 심리전망 지수는, 투자자 심리전망과 같이 실물경제가 2008년 리먼사태 /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수준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 (= 경기침체 조심!)

 

 

4. Risk level and OW equities vs cash and bonds charts :

> 위험수준과, 주식 및 현금 그리고 채권의 비율 차트.

> 현재 위험 수준은 2008년 리먼사태와 기술적으로 동일한 위험지수에 이미 도달함.

> 기관들의 주식대비 현금보유 비중은 2008년 리먼사태와, 2020년 코로나 펜데믹과 유사한 현금보유비중을 유지 중. (= 경기침체 발생에 대한 대응 준비 완료)

> 기관들의 주식대비 채권보유 비중은, 아직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수준으로 현금보유 비중 유지중. (= 미연준 QT로 인한 채권대학살을 배경으로, 아직 채권매수시기가 적기가 아님을 알 수 있음.)

 

 

5. Private client equity holdings chart :

>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사모투자자의 주식 보유비중 차트.

> 2008년 리먼사태 이후 39% 까지 주식보뷰율이 급락했었으나, 현재 66%로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홀딩 중.

> 사모투자자들의 주식보유 비중차트는 상당히 후행적인 차트 임. (= 사모투자자들의 다수는  주식에 대한 안목은 상당히 부족하며, 주도적/선행적 투자를 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음. 그냥 돈만 많은 꿀꿀이.)

> 아직 사모투자자 꿀꿀이들은 상당히 많은 주식을 현재 보유 유지 중. (= 추가 매수 상승 불가 / 이미 매수 홀딩 중)

> 실제 꿀꿀이 매도세가 발생하는 경우, 급격한 하락 발생 가능. (= 매도세 발생시, 급격한 하락 유동성 발생 조심!)

 

 

6. S&P Global flash US PMI composite output index :

> S&P 글로벌 플레쉬 미국 구매 제조업 복합지수 차트.

> 2022년 1분기 미국 GDP 적자 발생 이후, 이어서 파랑색 (구매제조업 복합지수 : 47.5 point) 또한 지속 하락 중.

> 미국 GDP 적자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일시적으로 반등하더라도, 부러질 가능성이 높음. (= 본격적 경기침체 조심!)

 

 

7. CEO confidence vs corporate CAPEX estimate chart :

> CEO 신뢰도 및 투자지출 예상지수 차트.

> 수익률  곡선 역전, 연준긴축, 기업이익률 하락 등으로 경영자의 투자의지 (빨강색) 은 상당히 축소되어 지고 있음.

> 하얀색 (러셀 1000 투자금액 예상 지수) 또한, 경영자의 의지와 커플링으로 움직이며 투자규모가 급속도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 투자긴축 / = 경기불황 및 침체 / = 투자 조심!)

 

 

8. Index of leading indicators (MoM) charts (1960-2022Y):

> 미국 경기 선행지수 (월간 비교 / 월간 감소추세) 차트.

> 빨강선을 넘어 가는 경우, 대부분 경기침체가 무조건 발생 함. (약 62년간, 1996년 한번만 제외)

> 2022년 07월 경기 선행지수 데드크로스에 근접했고,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급격하게 높음. (= 경기침체 조심!)

 

 

 

9. US existing home sales median price chart :

> 미국 기존 주택 판매 중간가격 차트.

>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 상승중. 2020년 팬데믹 이후 유동성 공급으로 인하여, 상승폭이 비정상적으로 커짐.

> 미국내 부동산 거래를 통하여, 서로 폭탄 돌리기 오징어 게임이 시작 되어짐.

> 미국내 부동산은 아직 유동성 회수가 되지 않은 상태로, 유동성 회수 압박이 본격적으로 시작 될 시, 급격한 하락 및 경기침체의 플레그가 될 가능성이 높음. (= 폭탄 돌리기 피해 조심!)

 

 

10. Annual change in earning (YoY) chart :

> 연간 기업 주당 순이익 차트.

> 미국 기업들의 주당 순이익은 지속적으로 하락 중에 있음. 

> 경제성장이 이미 적자로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하였고, 기업 또한 빨강색 영역으로 지속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 경기침체 구간 조심! / 개별투자 종목 어닝쇼크 조심!)

 

 

 

11. Diffusion index of every possible yield curve inversion :

> 경기침체 역 수익률 곡선 차트.

> 해당 지수가 상승 후, 하락시 어김없이 6개월 - 1년뒤 경기침체가 발생 하였음.

> 과거 디플레이션 시대에는 해당 지수가 상승하는 시기 또는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터지기 직전까지, 주가가 마지막 피크로 상승하였음.

> 그러나, 현재는 인플레이션 시대에서는 주가 역전현상으로 급격히 피크로 하락중. (= 경기침체 발생시, 더블 딥 / 이중하락 발생 가능성 조심!)

 

 

 

12. Company dividend changes by quarter (2018-2022Y) :

> 분기별 회사 배당금 변동 차트.
> 배당주 투자자들은 나는 괜찮아.. 라고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올림.

> 2022년 진입 이후, 기업별 배당금을 축소를 하거나, 또는 증가하지 않은 기업이 증가세에 있음.

> 배당 수익률은 지속 하락세에 들어갔으며, 주가하락으로 인한 배당성장율 하락이 지배적임.

> 배당주는 불황에 해법이 될 수 있지만, 경기침체는 피해 갈 수 있는 종목은 아님. (= 경기침체 조심!)

 

 

13. Inflation come down with recession (Compared average 1922-2022) :

>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평균 1922-2022 비교).

> 경기침체 후 인플레이션 CPI 평균 -6.8% 하락 함.  

> 인플레이션 CPI 하락시 어김 없이, 경기침체가 발생 함. (역사상 100년 확률 100%)

 

 

14. Chian property vs commodities (YoY) chart :

> 중국 부동산 및 원자재 연간 가겨비교 차트.

> 중국 부동산이 하락하면, 원자재 가격은 항상 하락 하였음.

> 검은색 (중국 부동산 가격) 이 이미 하락국면에 들어갔으며, 원자재 또한 가격하락 국면에 진입 함.

> 빨강색 (원자재 가격) 은 조금더 유동적임으로, 예상보다 훨신 더 많은 가격하락이 예상 됨. (= 인플레이션 하락)

 

 

15. Truck tonnage index vs S&P 500 index chart :

> 트럭 톤수 지수 및 S&P 500 지수 차트.

> 미국 교통부에서 및 트럭 운송협회에서 월간 트럭 톤수보고서에 따른 데이터.

> 주황색 (트럭 톤수지수)랑 보라색 (S&P 500지수) 는 서로 커플링.

>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이후, 상호 괴리감이 발생 하였음.

> 2021년 하반기 이후 서로 중간지점을 만나러 조정장에 돌입. (= 보라색 S&P 500 추가 하락 조정 가능 조심!)

 

 

16. S&P 500 chart with 100-Period moving average :

> S&P 500 기준, 100일 이동평균선 보조 차트.

> 100일 이동평균선 기준으로 2009년 이후 최저 바닥 및 기술적 반등 커브 발생.

> 단순 차트상 기술적 반등 구간이며, 미국이 경기침체가 오지 않을 거라는 객관적인 확실한 근거가 보이지 않는 이상은 투자 조심.

 

 

 

 

*** 결론 ***

 

> 내가 아는 기술적 상승이면, 기술적으로 수익을 확보하는게 맞음.

 

> 내가 모르는 기술적 상승이면, 무릎 이후 수익을 안전히 확보하는게 맞음.

 

> 경제흐름은 아직 추가 조정이 예상 됨.

 

> 오늘 기준, 경기침체가 오지 않을 이유와 근거가 보이지 않음.

 

> 항상 무릎에서 진입한다는 생각. 무리수 ㄴㄴㄴ.

반응형

댓글